스테이블 디퓨전은 영국의 Open source generative AI 회사인 Stability AI 사에서 2022년 8월 출시한 AI 이미지 제너레이터입니다.
스테이블 디퓨전을 설치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web ui를 구글 코랩(colab)에 설치하거나, 파이썬을 이용해 내 컴퓨터에 설치하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,
설치방법은 유튜브, 블로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
컴퓨터 사양이 딸리다 보니 구글 코랩을 이용한 방법만 설명합니다.
아래는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몇가지 설치 방법입니다.
모든 설치 방법에서 항상 먼저 실행해야 하는 작업은 "Drive로 복사"를 눌러서 ~~의 사본 링크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.(중요)
[기본 설치]
- 가장 기본이 되는 설치 방법으로 유튜브나 기타 사용 설명에 등장하는 설치법입니다.
https://github.com/AUTOMATIC1111/stable-diffusion-webui
https://colab.research.google.com/github/TheLastBen/fast-stable-diffusion/blob/main/fast_stable_diffusion_AUTOMATIC1111.ipynb
설치시간 : 4분내외
디스크용량 : 2.16G
[최소 설치]
- Checkpoint나 Lora 기타 설치 불가, 생성 이미지 자동 저장 안됨,
- 시전용, 학습용, Demo용으로 사용용이
- 구글 드라이브 용량 최소 20Kb로 구글 드라이브 용량을 거의 차지 하지 않음
https://colab.research.google.com/github/camenduru/stable-diffusion-webui-colab/blob/main/stable/chillout_mix_webui_colab.ipynb
설치시간 : 10분내외
- 디스크용량 : 16KB(생성 이미지 저장 되지 않음)
[간략 설치]
- Checkpoint나 Lora, 생성 이미지 모두 저장됨,
- 확장 프로그램 설치시 적용은 되나 다시 리부팅시 저장이 되어 있지 않음(한글화등)
- https://github.com/ninjaneural/webui 사이트 접속시 기본 모델이 링크공유로 적용된 colab으로 설치 가능(해당모델 용량 차지 하지 않음)
- 설치시간 : 10분내외
- 디스크용량 : 263KB(이미지등 기타 생성할 수록 용량이 늘어남)
https://colab.research.google.com/github/ninjaneural/webui/blob/master/stable/perfectworld_webui_colab.ipynb
https://colab.research.google.com/github/ninjaneural/webui/blob/master/stable/chillout_ni_mix_webui_colab.ipynb
1. Driver로 복사 > 복사한 바로가기 생성 페이지에서 실행해야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됨
2. 생성한 이미지를 구글드라이브에 자동저장하려면 체크해주세요
[최신 버전 설치}
https://github.com/camenduru/stable-diffusion-webui-colab/tree/drive
- 기본 버전 보다 확장된 기능과 UI
- 한글화 및 기타 설정 가능
- 설치가 까다로우며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림
- 디스크용량 : 9G
[Web에서 바로 A.I 그림 생성 사이트]
1. https://playgroundai.com
- 하루에 1,000개의 이미지를 생성
- Stable Diffusion WebUi 와 비슷한 항목들로 배치
2. https://pokeit.ai
- 국내에서 만들어진 사이트
- 로그인시 1,000점의 포인트 지급, 이미지 하나(4장) 생성시 8포인트 소진
- 위의 playgroundai.com 보다 세세한 항목들이나 디테일이 떨어짐
3. https://www.ptsearch.info/compute/menu
- 프롬프트를 제공해 주는 사이트 였는데 최근에 이미지 생성도 해 줌
- 아직 까지(Beta)는 어느 정도 사용량을 주는지 잘 모름
- Beta 테스트 중이라 생성이 오래 걸리고 안될 수도 있음(정신 건간상 비 추천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