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UI 에서 VAE란 Variational Autoencoder의 약자로, VAE는 이미지를 선명하거나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보정 처리를 담당하게 된다
VAE는 생성된 그림의 후보정 필터 역할을 한다.
VAE를 적용하면 적용하지 않은 그림보다 더 또렷하고 이쁜 그림이 완성된다.
각 모델마다 맞는 VAE가 다르기 때문에 모델을 바꿔줄 때에는 VAE도 바꿔줄 필요가 있다.
대표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VAE는
vae-ft-mse-840000-ema와
kl-f8-anime2
가 되겠는데
각각 실사 그림체와, 만화 그림체에서 주로 사용하게 된다.
다운받은 파일이나 공유링크를 /stable-diffusion-webui/models/VAE 폴더에 저장합니다.
이후 WebUI를 다시 실행한 뒤
Settings > Stable Diffusion > SD VAE 에서
다운로드 받은 VAE로 변경한 후 Apply Settings를 눌러주면 VAE가 그림체에 적용되게 된다.
일부 모델은 모델 안에 자체적으로 VAE가 병합되어있는 경우가 있다.
위의 부분이 체크되어있다면 모델에서 기본으로 쓰는 VAE를 우선하기 때문에 앞서 설정했던 VAE가 무시될 수 있다.
최근에 나오는 모델의 경우 VAE가 자체적으로 병합되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체크설정을 해두시는 것을 권장한다.
마지막으로 그림체인 Checkpoint를 변경할 때마다 VAE를 변경하는 과정이 상당히 귀찮기 때문에
이것도 화면 상단에 추가할 수 있다.
먼저 Settings로 들어온 뒤
User interface를 눌러주고
Quicksettings list에 sd_vae를 추가해주자
이후 상단의 Apply settings를 누른 뒤
WebUI를 다시 실행해주면
SD VAE가 화면 상단에 추가된 것이 보인다.